디자인 작업을 시작할때 메인 칼라와 서브 칼라를 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면서도 어려운 일이다.
브랜드나 전체 사이트에 대한 이미지는 가장 먼저 시각을 통해 전달 되는데 그 중 칼라가 차지하는 비중이 꽤 높다고 볼 수 있다.
그래서 칼라를 정하고 칼라값을 구하는데 도움이 되는 사이트를 정리해 보았다.
" 저처럼 칼라를 선택하고 다양한 칼라를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느끼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~ "
1. 구글 칼라 피커 http://bitly.kr/6ggK9lA4
작업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구글 칼라 피커.
세밀하게 칼라를 조정할 수 있고 기존에 사용한 칼라값을 복사하여 붙혀넣기하여 그 칼라를 기준으로
조금씩 칼라를 변경할 수 있어서 유용하다.
2. 플랫 UI칼라 http://www.flatuicolorpicker.com/
RED, PURPLE, BLUE, GREEN, ORANGE, YELLOW, GRAY 칼라 중 자주 사용되는 칼라들을 RGB, CMYK, HEX 등의 값을 제공하고 있다. 어떤 칼라를 사용할 지 고민될 때 쉽게 선택할 수 있고 UI도 심플하여 사용하기 편리함.
3. Material design palette https://www.materialpalette.com/yellow/amber
칼라 2개를 선택하면 오른쪽에 선택한 칼라가 적용된 예시 화면을 확인 할 수 있어 칼라 조합에 대한 고민을 덜어 주는 사이트
4. Color Hunt https://colorhunt.co/
다양한 칼라 조합을 확인 할 수 있는 사이트.
디자인을 하다 보면 나도 모르게 자주 사용하던 칼라만 쓰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 이 사이트를 참고하면
조금 더 다양한 칼라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.
5. 그라데이션 https://cssgradient.io/
마지막으로 그라데이션 칼라를 선택하면 CSS 코드를 생성해주는 사이트이다.
그라데이션 생성해주는 사이트들이 꽤 있지만 내 기준에선 이 사이트가 깔끔하고 사용하기 편리한것 같다.
'정보공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5G폰 요금제를 4G LTE 요금제로 변경하는 방법 (0) | 2021.01.09 |
---|---|
주택담보대출 - 낮은 금리로 대출 갈아타기 (보금자리론) (0) | 2021.01.09 |
구글 SEO 가이드 요약 (검색엔진 최적화) (0) | 2020.04.21 |
댓글